Surprise Me!

[여랑야랑]최재형 감사원장 “입양은 아이를 고르는 게 아니다” / 안철수의 ‘문을 여시오!’

2021-01-19 1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Q. 여랑야랑, 정치부 이동은 기자와 함께합니다. 첫 번째 주제 보여주시죠. 입양의 정의, 오늘 정치권에서 재조명된 입양 가족이 있죠. <br> <br>네, 최재형 감사원장 가족입니다. <br><br>Q. 아들을 입양했다고 하더라고요. <br><br>4남매 중 아들 둘을 입양했는데요.<br><br>오늘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SNS에 최재형 원장의 10년 전 인터뷰 기사를 공유했습니다. <br> <br>최 원장은 당시에 부장판사였는데요. 입양을 준비하고 있는 부모에게 아이에게 뭔가를 기대하면 안 된다고 조언했습니다. <br><br><br><br>"입양은 진열대에 있는 아이들을 물건 고르듯이 고르는 것이 아니다. 아이에게 사랑과 가정이라는 울타리를 아무런 조건없이 제공하겠다는 다짐이 있어야 한다"는 게 최 원장의 생각입니다.<br><br>Q. 입양이 말로는 쉬울지 몰라도 실천은 쉽지 않죠. <br><br>네, 한국입양홍보회에 올라온 최재형 원장 가족의 일기도 찾았는데요. <br><br><br><br>최 원장은 17년 전 글에서 아들의 자라나는 모습을 남기지 않을 수 없다. 귀여우니까 라며 입양한 아들에 대한 애정을 감추지 않았습니다.<br><br>3년 전에는 수행원도 없이 입양의날 행사에 깜짝 참석해 귀빈석에 급하게 자리를 만들기도 했습니다.<br><br>Q. 논란이 됐던 어제 대통령의 입양 관련 발언과, 하필 정권과 갈등을 빚고 있는 최재형 원장의 과거 발언이 대비되면서 더 화제가 된 거죠. <br> <br>네, 청와대는 오늘도 진화에 나섰습니다. <br><br>[강민석 / 청와대 대변인 (오늘, MBC 라디오 '김종배의 시선집중')] <br>오해를 상당히 강하게 하신건데. // 대통령님 의도나 머릿속에 아동반품이란 의식 자체가 없으십니다. 사전위탁보호제도를 설명드릴 때 아이를 위한 제도다. <br> <br>[김종배 / 진행자 (오늘, MBC 라디오 '김종배의 시선집중')] <br>그럼에도 불구하고 표현이 적절하지 못했다는 점은 인정하시는 거죠? <br> <br>[강민석 / 청와대 대변인 (오늘, MBC 라디오 '김종배의 시선집중')] <br>어제 하신 말씀에 전체 맥락을 보시면 이해하실 수 있었을 텐데 조금 아쉽게 생각합니다. <br> <br>청와대는 아직까지 오해다, 언론과 국민이 이해를 잘못한 거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><br><br><br>Q. 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문을 여시오!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한 말입니까? <br><br>오늘 안철수 대표가 국민의힘을 향해 야권 후보가 한꺼번에 참여하는 개방형 통합 경선을 제안했습니다. <br> <br>입당은 안 하는 대신 국민의힘이 만든 플랫폼에서 경선을 치르겠다는 겁니다. <br><br>[안철수 / 국민의당 대표] <br>제 머리속에는 오직 단일화를 통한 야권 승리, 그리고 정권교체의 교두보를 놓겠다는 한 가지 목표만 있을 뿐입니다. 국민의당은 조만간 실무대표를 인선하고 기다리겠습니다. <br><br>Q. 손뼉도 마주쳐야 소리가 나죠. 국민의힘은 안 대표 손에 손뼉을 쳤습니까? <br> <br>경선은 당원을 상대로 하는 거라며 거부했습니다. <br><br>[김종인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] <br>우리 당의 후보가 확정된 다음에 그다음에 단일화라는 것이 이뤄질 수 있는 것이지 그전에는 단일화를 할 수가 없어요. <br><br>[주호영 / 국민의힘 원내대표] <br>우리 당헌 당규에 우리 당원을 상대로 경선을 하도록 돼 있기 때문에 쉽지 않은 거로 알고 있습니다. <br><br>Q. 국민의힘이 받기 힘든 이유가 있겠죠? <br><br><br><br>최근 여론조사를 보면 서울시장 여야 후보 적합도에서 안철수 대표는 나경원 전 국민의힘 의원, 오세훈 전 서울시장을 앞섰습니다.<br> <br>이 상태에서 통합 경선을 하면 국민의힘 후보들이 밀릴 가능성이 크겠죠. <br><br>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"(안 대표가) 밖에서 국민의힘을 먹고 싶은 것"이라고 해석했습니다.<br><br>Q. 그렇다고 국민의힘도 마냥 거부하면, 단일화를 원하는 야권 지지층의 지탄을 받을 수도 있을 것 같고요. <br> <br>맞습니다. <br> <br>안 대표 입장에서는 국민의힘이 통합 경선을 받으면 좋고, 안 받아도 나는 단일화를 위해 할 만큼 했다는 명분을 쌓을 수 있겠죠. <br><br><br> <br>오늘의 여랑야랑은 '일거양득'으로 정해봤습니다. <br><br>Q. 국민의당과 국민의힘 당명은 비슷한데, 합쳐지기는 쉽지가 않네요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

Buy Now on CodeCanyon